Surprise Me!

[현장 카메라]사라진 미역·톳…사막화 되는 제주 앞바다

2024-04-25 0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제주의 명물인 오분자기가 자취를 감추고 있습니다. <br> <br>미역도 해삼도 사라져 가는데요, 바닷물 온도가 올라 빠르게 사막화되고 있어서입니다. <br> <br>얼마나 심각한지 현장 카메라 김승희 기자가 바닷속으로 들어가봤습니다. <br><br>[기자]<br>제주 바닷속이 사막처럼 변하면서 이곳에 서식하던 생물들도 씨가 말라가고 있습니다. <br> <br>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<br><br>모슬포항에서 배를 타고 15분, 해녀들이 물질을 하기 위해 준비 중입니다.<br><br>모슬포 바다 한가운데 도착했는데요. <br> <br>해녀들과 함께 직접 바다 안을 살펴보겠습니다.<br> <br>물 위에서 바닷속을 봐도 곳곳이 하얗게 된 걸 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취재팀이 해녀들을 따라 수심 7m 아래까지 내려가 봤습니다. <br> <br>바위 구석구석을 살피고 돌을 들춰보지만, 매번 허탕입니다. <br> <br>[고정순 / 해녀] <br>"감태 같은 것도 막 났는데 감태가 하나 없어. 소라, 전복, 해삼도 없고." <br><br>6년 전만 해도 푸른 해조류가 가득했던 서귀포 앞바다는 하얀 모래가 뒤덮인 사막처럼 변했습니다.<br> <br>1시간가량 바닷속을 누볐지만 작은 소라 한 개와 미역뿐입니다. <br> <br>[김순아 / 해녀] <br>"해삼만 잡아도 벌이가 괜찮았는데 어떤 때는 7~8kg도 잡고. 아예 지금은 없어요. 앞으로 5년 안에 다 끝장날 것 같아." <br><br>온난화로 제주 앞바다 수온이 계속 오르면서 석회질 성분의 조류가 번식하는 갯녹음 현상이 확산되고 있는 겁니다. <br><br>5년 전만 해도 약 50㎢였던 제주 지역의 갯녹음 면적은 지난해 65㎢로 늘었습니다. <br> <br>제주 연안의 39%가 황폐화된 겁니다.<br> <br>제주 특산품으로 이름을 날리던 오분자기도 더이상 제주산이 없습니다. <br> <br>[제주 수산시장 상인] <br>"이거는 다 양식. 완도에서 오는 거. 오분자기라는 거는 씨가 말랐어, 제주도에." <br> <br>제주 민속 음식점들도 쉽게 얻던 제주 해산물 밑반찬을 내놓지 못하게 됐습니다. <br> <br>[식당 주인] <br>"미역 반찬 못하지, 콩나물만 하고. (예전에는) 공짜로 우리가 뜯어서 (바다) 나가서 했지." <br><br>실제로 제주 지역의 오분자기와 톳 채취량은 18년 새 각각 95%, 98% 줄었습니다.<br> <br>뚜렷한 해법도 없습니다. <br> <br>[정석근 / 제주대 해양과학대학 교수] <br>"이미 환경이 바뀌었는데. 인간이 이걸 무슨 다른 해조류로 바꾼다는 거는, 종을 원래 종으로 바꾼다는 건 불가능하고." <br> <br>[양병규 / 제주해양수산연구원 연구사] <br>"앞으로는 좀 기르는 어업으로, 자연에서 채취하는 어업이 아니라. 우리가 어민들에게 소득원이 될 수 있는 그런 품목들을 개발하고…" <br> <br>돌이킬 수 없는 지구 온난화의 역습, 제주 바다, 우리 식탁의 먹거리까지 바꿔놓았습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김승희입니다. <br> <br>PD: 김남준 장동하 <br>작가: 전다정<br /><br /><br />김승희 기자 sooni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